문화/라이트 노벨 미우 2021. 8. 21. 09:26
오는 2021년 8월을 맞아서 드디어 한국에도 라이트 노벨 이 정식 발매되었다. 이번 은 본격적으로 무인도 서바이벌 시험이 시작하는 편으로, 츠키시로 이사장 대행이 준비해놓은 함정과 서바이벌 시험에서 기다리고 있는 여러 과제가 무척 기대되었다. 라이트 노벨 은 딱 그런 기대를 부응하듯이 시작 장면부터 크게 흥미를 품을 수 있었다. 무엇보다 츠키시로 이사장 대행이 무인도에서 학생들에게 규칙을 설명하는 부분과 절대 어겨서는 안 되는 사항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약간의 다툼을 허용한다는 발언을 해버린 것이다. 이 발언에 학생들보다 교사들이 더 당황하면서 2학년 A반 담임인 마시마가 철회하라는 뜻을 몰래 전했지만, 츠키시로는 거기에 아랑곳하지 않고 "저는 철회하지 않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조금의 다툼도 일어나지 않..
문화/라이트 노벨 미우 2021. 3. 6. 07:22
드디어 한국에 라이트 노벨 이 정식 발매되었다. 일본에서는 진작에 발매되어 있었고, 공격적으로 여러 신작 라이트 노벨을 빠르게 발매하는 소미미디어이기 때문에 적어도 2020년에는 발매해주지 않을까 내심 기대를 했었다. 하지만 소미미디어도 내부에서 여러 사정이 있었는지 2020년 한 해 동안 기다리고 기다린 라이트 노벨 은 끝내 발매되지 않았다. 그러는 동안 일본에서는 2학년 편이 4권까지 발매되어 많은 라노벨 독자의 갈증만 깊어졌다. 그렇게 목이 말라서 죽을 것 같을 때 오는 2021년 2월을 맞아서 겨우 라이트 노벨 이 발매되었다. 다소 발매된 시간이 늦으면 어떤가, 이렇게 한 라이트 노벨 시리즈를 도중에 접지 않고 꾸준히 발매해주는 것으로도 감사한 일이다. 라이트 노벨 은 2학년으로 올라가는 모두의 ..
문화/라이트 노벨 미우 2018. 5. 1. 07:30
[라이트 노벨 감상 후기] 어서 오세요 실력 지상주의 교실에 7.5권, 크리스마스를 맞은 작은 해프닝 일본 기타큐슈 인턴을 갔을 때 고쿠라의 아루아루시티에서 원서 한정판을 샀었지만, 일본어라 미처 책에 손을 대지 못했었다. 읽을 수 없는 건 아니지만(이 정도 책도 못 읽으면 일본어과 수치다.), 원서는 한글로 된 작품보다 읽는 속도가 느려서 시간이 없었다. 매달 발매되는 신작 만화책과 라이트 노벨 등을 읽으면서 대학 과제까지 하면 부족한 게 시간이었다. 그래서 원서 은 일본 멜론북스 한정판으로 함께 얻을 수 있었던 타페스트리를 영상으로 찍어서 유튜브에 올리는 일로 만족했다. 역시 일본 한정판은 최고였다! 그리고 드디어 한국에도 번역판이 정식 발매가 되었고, 지난 토요일 늦은 밤에 을 빠르게 읽었다. 딱히..
문화/라이트 노벨 미우 2018. 2. 6. 07:30
[라이트 노벨 감상 후기] 어서 오세요 실력 지상주의 교실에 7권, 류엔과 아야노코지의 결착 일본 인턴 연수를 가 있는 동안 후발주자로 발매된 1월 신작 라이트 노벨을 읽지 못했다. 일본에서 돌아온 지금도 여러 일이 바빠 매일 아침을 분주히 움직여야 하지만, 그래도 일본에서 살인 일정으로 매일을 보낸 것과 달리 오후에는 자유롭게 책을 읽을 시간이 있다는 게 얼마나 다행인지 모른다. 오늘 월요일(5일) 제일 먼저 읽은 작품은 라이트 노벨 이다. 일본 기타큐슈 고쿠라에서 머무는 동안 한정판을 구매하기도 했지만, 일본에서 보내는 시간은 도무지 라이트 노벨을 읽을 시간을 허락하지 않았다. 그래서 을 더 흥미진진하게 읽었는데, ‘류엔과 아야노코지’ 두 사람의 대결이라는 소재는 책을 펼친 순간부터 몸에 짜릿한 흥분..
문화/라이트 노벨 미우 2016. 2. 15. 08:00
[라이트 노벨 감상 후기] 어서 오세요 실력 지상주의 교실에 1권 우리가 사는 세상은 평등하지 않다. 우리는 누구나 법 앞에 평등하거나 누구나 성공하거나 행복할 기회를 보장받는다고 배웠지만, 우리가 사는 사회는 전혀 그런 것이 없다. 금수저 이론은 한국만이 아니라 미국과 일본, 중국 등 주변에 있는 모든 나라에서 적용되며 '불평등'을 말한다. 사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불평등이 발생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다. 나의 조부모와 부모가 가진 재력에 따라서 불평등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그래서 우리 사회에서는 불평등을 줄이고, 계급 간의 격차를 줄이는 동시에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 다양한 복지 제도 시스템을 가지고 있어도 한계는 있다. 현재 미국에서 뜨겁게 화제가 된 버니 샌더스 열풍은 오랫동안 미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