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라이트 노벨 미우 2016. 4. 11. 08:00
[라이트 노벨 감상 후기] 아마기 브릴리언트 파크 5권, 아디치 에이코 4월 신작 라이트 노벨 발매를 기다리면서 3월에 주문한 라이트 노벨과 만화책을 순차적으로 읽고 있다. 오늘(9일) 읽은 작품은 으로, 지난 3권과 4권을 후원받아 나름 괜찮게 읽은 이후에 남아있던 인터넷 서점 포인트를 이용해서 만화책과 함께 구매했다. 애니메이션에서 볼 수 없었던 각 캐릭터의 에피소드를 읽을 수 있는 라이트 노벨 시리즈는 나름 재미있게 읽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3월 신작 라이트 노벨로 발매되었던 또한 아다치 에이코, 센토 이스즈 등의 인물 이야기가 소재였다. '센토 이스즈'이라는 이름은 익숙하지만, '아다치 에이코'의 이름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애니메이션에서 처음에 'AV'에서 일했다고 한 면접..
문화/라이트 노벨 미우 2016. 4. 2. 08:00
[라이트 노벨 감상 후기] 아마기 브릴리언트 파크 4권, 악령 제령과 PV 영상 유원지. 순수 우리말로 옮기게 되면 '놀이공원'이라고 말할 수 있다. 놀이공원에 대한 추억을 가지지 않은 사람은 거의 없다고 하지만, 나는 솔직히 놀이공원에 대한 떠올릴 수 있는 추억이 없다. 어릴 적에 학교에서 가야 했던 소풍으로 놀이공원에 간 적이 있지만, 전혀 즐거운 시간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그 당시 놀이공원에 가서 무조건 표를 사야 한다고 해서 3장? 5장 정도의 티켓을 샀던 것 같다. 그걸로 나는 어떤 놀이기구를 타는 게 아니라 주머니 속에 넣어놓은 채, 오락실에서 당시 유행하던 킹오브 파이터를 잠깐 했다가 바깥 벤치에 앉아 쉴 새 없이 움직이는 사람들의 모습을 바라보고 있었다. 그냥 바라보는 게 아니라 '도대체 ..
문화/라이트 노벨 미우 2016. 3. 30. 08:09
[라이트 노벨 감상 후기] 아마기 브릴리언트 파크 3권, 츄죠 시이나는 도망치고 싶다 애니메이션으로 재미있게 본 이야기가 라이트 노벨이 원작이라는 사실을 일찍 알고 있었다. 한국에서도 정식 발매가 된다는 소식을 들었지만, 언제나 읽는 라이트 노벨을 구매하는 일이 먼저라 논외 작품으로 두고 있었다. 내가 이런 선택을 한 이유는 두 가지 정도가 있다. 첫 번째는 길게 말할 필요도 없이 '금전적 문제'다. 읽고 싶은 신작 라이트 노벨을 있는 대로 다 구매해서 읽기 시작하면 돈이 너무 부족하다. 지금도 겨우 플러스마이너스 제로를 맞추거나 간간이 부족해서 포기하는 작품이 속출하고 있는데, 정말 확 꽂히는 작품이 아닌 이상 구매하는 건 어려웠다. 두 번째는 애니메이션 감상 후기를 적을 때 사람들이 '이 작품은 애니..
문화/아니메 관련 미우 2015. 2. 11. 08:00
[애니메이션 감상 후기] 아마기 브릴리언트 파크, 파산 직전의 파크를 지켜라! 아직 추가로 주문한 2월 신작 라이트 노벨은 도착하지 않았고, 블로그에 포스팅 발행은 해야 하기에 작성하게 된 지난 2014년 후반 애니메이션 감상 후기다. 이번에 소개할 애니메이션은 이라는 애니메이션으로, 방송 시간과 방송 이후 그럭저럭 괜찮은 평을 받은 애니메이션이었다. 의 원작은 역시 라이트 노벨이었는데, 애니메이션은 원작과 많이 바뀌었다고 한다. 원작을 보지 않은 한 명의 시청자로서 애니메이션 만 보았을 때는 상당히 괜찮다고 생각했는데, 원작을 본 사람들은 여러 가지로 아쉬운 부분이 많은 것 같다. (나도 다른 작품에 대해서는 비슷하다.) 애니메이션 는 방과후 교실에서 카니에가 이스즈에게 '아마기 브릴리언트 파크'이라는..
문화/아니메 관련 미우 2014. 10. 15. 08:00
[애니메이션 감상 후기] 내 맘대로 뽑은 '심쿵'하게 한 10월 신작 애니메이션 BEST 2 10월 신작 애니메이션이 방영되기 시작하면서 여기저기서 "이번 분기의 최고는 바로 이거다!" 등의 평가가 애니메이션 블로그 사이에서 나오고 있다. 지난 분기에 이어서 방송되는 《아카메가 벤다》와 《소드 아트 온라인 2기》는 여전히 독보적인 자리에서 '그래도 이 작품을 따라올 작품은 없지!' 같은 분위기를 보여주고 있는데, 10월 신작 애니메이션에서는 정말 볼 작품이 많았다. 그러나 모든 작품이 보고 싶다고 하더라도 '이 작품만큼은 절대 놓치고 싶지 않다.'는 느낌이 드는 작품과 함께 '그만 볼까? 딱히 재미있는 것 같지 않아.' 같은 느낌을 주는 작품으로 나누어진다. 내게도 이미 몇 개 작품이 그런 식으로 나누어..